여러분,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! (Happy New Year, everyone!) 오늘은 설날, 즉 음력설에 맞춰 특별한 에피소드를 준비했습니다. 한국어로만 진행할 예정이니까, 여러분의 듣기 실력을 발휘해 보세요!
오늘은 한국어 속담과 관용어를 배워보고, 특히 새해와 관련된 표현을 함께 알아볼 거예요. 속담은 언어를 더 풍부하게 만들어 주고, 한국 문화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.
그럼 시작해 볼까요?
🎵 [Cue Music] 🎵
다시 한 번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! 저는 엘라이자입니다. TOPIK & Beyond 팟캐스트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. 오늘은 설날과 관련된 재미있는 주제를 준비했어요—바로 한국 속담과 관용어입니다.
설날은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는 날이죠. 오늘 배울 속담과 표현들이 여러분의 언어 실력을 한 단계 높여 줄 거라고 믿어요. 여러분 준비됐나요? 그럼 시작해 봅시다!
History/Story/Overview
속담과 관용어는 한국 문화와 역사를 담고 있는 표현입니다. 이런 표현들은 짧지만 많은 의미를 담고 있어서,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자주 사용돼요.
예를 들어, 오늘 배울 첫 번째 속담은 고생 끝에 낙이 온다입니다.
이 속담은 "어려움을 이겨낸 후에는 행복이 찾아온다"라는 뜻이에요. 설날 같은 명절에, 이 속담은 특히 더 의미가 깊어요.
설날은 가족들과 함께 지난 한 해의 어려움을 되돌아보고, 새해에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날이잖아요.
Related Vocabulary, Phrases, and Grammar
Vocabulary
먼저, 설날과 관련된 단어를 몇 가지 배워 봅시다.
1. 설날 (Seollal) –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한 해의 첫날 전후에 치르는 의례와 놀이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쓰어요. 우리 민족의 3대 명절 중 하나인 설날이죠. 설날의 유래와 풍속, 차례상 차리는 법, 차례의 절차, 또 설날에 하는 놀이와 음식들이 있어요. (Lunar New Year)
Example: 설날에 가족들과 모여 음식을 먹어요.
2. 복 (bok) – 삶에서 누리는 좋고 만족할 만한 행운. 또는 거기서 얻는 행복. (Blessing, fortune)
Example: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!
3. 떡국 (tteokguk) – 가래떡을 어슷썰기로 얇게 썰어 맑은장국에 넣고 끓인 음식. (Rice cake soup (eaten during New Year’s))
Example: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해요.
4. 한복 (hanbok) –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. 특히 조선 시대에 입던 형태의 옷을 이르며, 현재는 평상복보다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, 경사, 상례, 제례 따위에서 주로 입어요. (Traditional Korean attire)
Example: 설날에는 한복을 입는 사람이 많아요.
5. 차례 (charye) –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, 명절날, 조상 생일 등의 낮에 지내는 제사. (Ancestral rituals)
Example: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내요.
6. 가족 (gajok) –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,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. 또는 그 구성원. 혼인, 혈연,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다. (Family)
Example: 설날에는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.
7. 세배 (sebae) – 정월 초하룻날 윗사람에게 절을 하는 새해의 첫인사. (New Year’s bow)
Example: 세배를 하면 세뱃돈을 받을 수 있어요.
8. 세뱃돈 (sebaetdon) –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세배를 올리면, 세배를 받은 사람이 세뱃값으로 주는 돈 (New Year’s money given to children after the bow)
Example: 세뱃돈으로 저금을 할 거예요.
9. 풍습 (pungseup) – 풍속과 습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. (Tradition, custom)
Example: 설날 풍습을 배우는 것은 재미있어요.
10. 행운 (haengun) – 좋은 운수. 또는 행복한 운수. (Luck)
Example: 새해에 행운이 가득하길 바랍니다.
________________
Idioms and Proverbs
이번에는 설날과 잘 어울리는 속담 몇 가지를 배워 봅시다.
1. 고생 끝에 낙이 온다 - ‘낙’은 즐거움이나 재미를 뜻해요. 어려운 일을 겪고 난 뒤에는 반드시 좋은 일이 생긴다는 말이에요. 열심히 살아가는 많은 사람에게 희망을 줄 때 쓰는 말이랍니다.
"Joy comes after hardship."
* Meaning: After enduring difficulties, good things will come.
* Example: 어려운 토픽 시험을 통과했어요. 정말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이 맞네요!
2. 시작이 반이다 - 무슨 일이든 마음먹고 처음 시작하는 것이 어렵지요? 그래서 시작을 했다 하면 이미 반은 한 것과 같다고 보는 거예요. 일단 일을 시작하고 나면 끝내는 것은 어렵지 않다는 뜻이랍니다.
"Starting is half the battle."
* Meaning: Once you begin something, you’re already halfway to success.
* Example: 새해 목표를 세웠으니 이제 시작이 반이에요.
3. 작은 고추가 더 맵다 - 고추는 매운맛을 내는 열매입니다. 최근에는 여러 품종이 개발되어 크기도 다양하고 맛도 조금씩 다르지요. 그중에서 크기가 작은 청양고추는 풋고추나 꽈리고추보다 매운맛이 훨씬 강해요. 그래서 예부터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행동이 빠르고 야무지다고 하여 이런 속담까지 생겨났어요.
"Small peppers are spicy."
* Meaning: Size doesn’t determine strength; even small people or things can be powerful.
* Example: 동생이 작지만 똑똑해서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이 생각나요.
Grammar: Breaking Down Idioms
속담을 이해하려면 문법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예를 들어:
* 고생 끝에 낙이 온다:
* 끝: 시간, 공간, 사물 따위에서 마지막 한계가 되는 곳. (end)
* -에: 격 조사라고, 명사와 함께 사용되어 시간을 나타내며, 어떤 행동,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하는 시간을 표현합니다. 또한 장소 명사와 함께 사용되어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나타냅니다. (A particle used with a noun to indicate time and expresses the time when some action, event or situation occurs. It is also used with a place noun to indicate the location of a person or thing.)
* 그래서, 끝에는 ‘마지막에’를 뜻 해요. ("at the end of")
이렇게, 속담을 하나하나 쪼개서 보면,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!
TOPIK Focus
다음은 TOPIK 쓰기 섹션에서 속담이 나올 경우를 대비한 팁입니다.
Example Question:
다음 속담을 보고, 자신의 경험을 쓰세요:
"시작이 반이다."
접근 방법:
1. 먼저, 속담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세요:
* 시작이 반이라는 말은 무언가를 시작하는 것이 이미 성공의 반이라는 뜻입니다.
2. 그런 다음, 자신의 경험을 연결하세요:
* 예를 들어, 저는 한국어 공부를 시작할 때 겁이 났습니다. 하지만 공부를 시작하고 나니 자신감이 생겼습니다.
3. 마지막으로 결론을 쓰세요:
* 이처럼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은 저에게 큰 교훈을 주었습니다.
여러분은 가장 좋아하는 속담이 무엇인가요? 또는 새해와 관련된 재미있는 표현을 알고 있다면, 저와 나눠 주세요!
📸 Instagram에 여러분의 속담과 경험을 공유하세요. 태그는 @korean.joaacademy 그리고 해시태그 #topikandbeyond입니다. 여러분의 이야기를 기다릴게요!
새해에도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. 그럼 다음 에피소드에서 만나요!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!